5차 재난지원금 중 상생 국민지원금 대상이 소득 하위 80% 87.7%로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많은 분이 소득 하위 80% 87.7%의 기준을 궁금해 하십니다. 여기서 확인하시고, 해당된다면 늦지 않게 신청 마무리하세요.
✔ 5차 재난지원금 대상 조회 바로가기
5차 재난지원금 대상 조회 바로가기
5차 재난지원금 대상이 확정되었습니다. 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얘기가 되다가 결국 소득 하위 80%에게 지급하는 형태로 결정되었습니다. 1인당 25만 원을 받을 수 있고,
1인당 25만원씩 지급되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지난 1차 전국민 재난지원금보다 더 괜찮은 지원입니다. 가구별이 아닌 개인 별로 지급되기 때문에 4인 가구 이상이어도 25만 원씩 더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출퇴근길 대중교통 이용요금만 대체되더라도 큰 도움이 되기에 조건 맞으시면 신청 하시는 게 좋습니다.
다만 소득 하위 87.7%에 해당되지 않는 소득 상위 12.3%의 분들은 상생 국민지원금은 받을 수 없으니 상생 소비지원금을 알아보는 게 좋습니다.
클릭하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어집니다.
상생 소비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 | ||
*️⃣ 농협카드 | *️⃣ 삼성카드 | *️⃣ 롯데카드 |
*️⃣ 신한카드 | *️⃣ 우리카드 | *️⃣ 국민카드 |
*️⃣ 현대카드 | *️⃣ 기업카드 | *️⃣ 하나카드 |
소득 하위 87.7% 기준
소득 하위 87.7%는 소득 분배지표 혹은 건보료 및 기준 중위소득을 살펴보면 됩니다. 제가 항상 설명하는 사이트가 있는데요. 엔젤시터라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중위소득 및 건보료에 대한 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직접 들어가 확인하셔도 되지만, 여기서 제가 간단하게 정리해드릴 테니 고생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소득 하위 80% | |
1인 가구 | 365만 5662원 |
2인 가구 | 617만 6158원 |
3인 가구 | 796만 7900원 |
4인 가구 | 975만 2580원 |
5인 가구 | 1151만 4746원 |
6인 가구 | 1325만 7206원 |
가구별 소득 하위 80% 기준은 위 표와 같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 생활 보장 및 복지 급여 등 정부 지원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겨 정확히 가운데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이는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추경안에서 맞벌이 가구와 1인 가구 지급 대상이 정부 안보다 늘어났습니다. 먼저 맞벌이 가구는 가구소득을 따지기 위한 건보료 산정 시 가구원이 실제 1명 더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연소득 5천만원 수준으로 적용 기준이 상향ㅇ됐습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을 받으려면 가구별 기준선 아래에 해당되어야 받을 수 있습니다. 4인 가구 기준 연소득 약 1억 2천만원 미만이면 무조건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을 받지 못하면?
간혹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걱정하지 마세요. 상생 소비지원금을 이용하시거나 국가의 각 지원을 잘 활용하면 됩니다. 현금성 지원인 3종 패키지 외에도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방 재정 보강에 12~13조, 백신 및 방역 보강에 4~5조, 고용 및 민생 안정에 2~3조가 쓰이니 잘 활용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이어집니다.
✅ 서울특별시 | ✅ 광주광역시 | ✅ 경상북도 |
✅ 인천광역시 | ✅ 세종특별시 | ✅ 경상남도 |
✅ 부산광역시 | ✅ 경기도 | ✅ 제주도 |
✅ 대구광역시 | ✅ 강원도 | ✅ 전라북도 |
✅ 대전광역시 | ✅ 충청북도 | ✅ 전라남도 |
✅ 울산광역시 | ✅ 충청남도 | - |
5차 재난지원금 대상 조회 바로가기
5차 재난지원금 대상이 확정되었습니다. 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얘기가 되다가 결국 소득 하위 80%에게 지급하는 형태로 결정되었습니다. 1인당 25만 원을 받을 수 있고,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 바로가기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은 9월 이내로 종료됩니다. 현재 상생 국민지원금을 포함한 모든 5차 재난지원금 대상이 정해졌습니다. 아직까지 형평성 논란이 있지만, 많은 분이 받을 수 있는 건
사회적 거리두기 현황 바로보기
사회적 거리두기가 최대 5단계에서 4단계로 개편됩니다. 방역상황이 그대로 유지가 된다면 7월부터 수도권에서 인원 제한이 8인까지로 확대됩니다. 또한 식당, 카페, 노래방, 유흥시설 등의 영업
잔여백신 예약 홈페이지 바로가기
잔여백신 예약 홈페이지는 질병관리청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는 아닙니다. 정부가 카카오와 네이버와 협업해서 누구나 접근하기 쉽도록 만들었습니다. 계속 진행하고 싶으시다면 아래